2018년 11월 28일 기준 USDT 계약이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이는 스탠다드 계약의 기반에서 2차 혁신을 이룬 업그레이드된 무기한 계약입니다. USDT 계약의 모든 상품은 USDT를 기반으로 가격 표시 및 결산하는 계약 상품입니다.
USDT 계약은 “지정가 청산 무”, “손실 분담 무”, “만기일 무”, “포지션 유지비 무” 등 4가지 장점을 보유하고 있는 이외 다음과 같은 4가지 특징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양 방향 거래를 지원;
- 미실현 손익을 자유 분배;
- USDT만 보유하면 전체 상품 거래 가능;
- 전체 포지션의 위험도를 1개“위험도”로 합산하여 강제 청산 리스크 판정;
그럼, 저희와 함께 거래를 진행해 봅시다.
1. 거래화면으로 이동하기
58COIN 홈페이지에서 계정 로그인 후 “초급 인증” 및 “고급 인증”을 완료하여 주십시오.
다음 “USDT 계약”을 클릭하여 거래 화면으로 이동하십시오.
2. 입금
USDT 계약 계정에 자금이 없으시면 거래 화면에서 ‘입금”을 클릭하여 기타 계정에서 USDT 계정으로 자금을 이체하시면 됩니다.(내부 이체는 수수료를 부과하지 않습니다.)
3. 포지션 진입
거래 화면 좌측에서 거래하고 하는 상품을 선택하시고 “주문 구역”에서 포지션을 진입하시면 됩니다. 포지션 진입 방식은 “시장가”, “지정가”, “계획 주문” 3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시장가 주문: 시장가에 의해 즉시 거래를 체결시키는 지령입니다.
지정가 주문: 설정한 가격에 의해 거래를 체결시키는 지령입니다. 지정자 주문은 미리 구체적인 가격과 수량을 설정해야 합니다.
4. 계획 주문
지정가, 시장가 주문을 제외하고 계획 주문을 방식을 통해 포지션을 진입할 수 있습니다.
계획 주문: 미리 시세를 예상하고 예상한 결과에 따라 계획된 주문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당시 시장의 가격이 설정한 촉발 가격에 도달하면 설정한 집행 가격에 의해 거래가 체결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계획 주문 가이드”를 참조하십시오.
예: 8800달러에서 BTC/USDT 상품을 매수하려고 계획한다. 이때 계획 주문을 선택하고 촉발 가격을 8750달러로 설정합니다. 가격이 8750달러에 도달했을 때 해당 주문서는 촉발되지만 체결되지는 않습니다.) 추후 시장 가격이 8800에 도달해야만 해당 주문서가 체결됩니다.
5. 손익제한 사전 설정
시장에 주문서를 제출한 후 즉시 체결되지 않았을 때 “현재 위탁”에서 손익제한 기능을 사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탁 중인 주문서에서 손익제한 사전 설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위탁 중인 주문서가 체결되기 전에 미리 손익제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 위탁 중인 BTC/USDT 매수 주문서에 대해 수익실현 기능을 사전 설정하려고 합니다.
이때 수익실현 촉발 가격을 설정하고 제출하시면 됩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손익제한 가이드”를 참조하십시오.
6. 손익제한 설정
주문서가 시장에서 즉시 체결되면 “거래 내역”에서 거래 명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 “포지션”에서 “평균가”, “마진”, “미실현 손익”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포지션을 진입한 후 진행 중인 주문서에 대해 손익제한 기능을 설정하여 시세를 수시로 모니터링하지 않고 본인의 계획대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예: 진행 중인 BTC/USDT 매수 주문서에 대해 수익실현 기능을 설정하려고 합니다.
이때 “수익실현”을 클릭한 후 “집행 가격” 및 “결산 수량”을 입력하고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의:USDT 계약의 15가지 상품: BTC,EOS,ETH,LTC,XRP,ETC,DASH,BCH,BSV,
LINK,ADA,DOGE,ZEC,ALGO,ATOM。
- USDT계약은 동일한 상품의 양방향 거래를 지원합니다. 동일한 방향의 포지션을 진입하면 포지션 수량은 누적되고 “진입 가격”은 “평균가”로 변화됩니다.
- “포지션(장)”입력할 때 마우스를 “!” 위치에 올려놓으면 상품별 1장에 대응하는 수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문이 완료되면 일정한 비율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수수료 설명”을 참조하십시오.
7. 위험 제어 메커니즘
나의 자산에서 “현재 자산”, “사용 가능” 등 여러 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위험도”를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위험도 > 50%일 경우 위험도 표시 막대는 초록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하고 위험도 > 90%일 경우 거래소에서 발송한 조기 경보 메시지를 수신 받게 됩니다. 위험도 = 100%일 경우 해당 포지션은 유지 마진 조건에 충족하지 못하여 강제 청산 처리됩니다.
주의:
- USDT 계약은 전체 포지션의 위험도를 1개 위험도로 합산하여 리스크를 판정합니다.
즉, 각 포지션별 리스크를 판정하는 것이 아닌 전체 포지션의 위험도를 합산하여 리스크를 판정합니다.
- 동일한방향의 포지션 위험도= (포지션 합 * MM)/ 현재 권익
양방향 포지션 위험도 =(비교적 큰 가치의 포지션 합 * MM)/ 현재 권익
MM = 유지 마진 = 0.5%, 현재 권익 = 사용 가능 잔액 + 유지 마진 + 미실현 손익
- USDT계약은 “교차 마진” 모델을 채택하고 있으며 미실현 손익은 자동으로 마진에 추가됩니다. 화면상 미실현 손익은 적자 상태이지만 사용 가능 잔액이 충분하고 위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위험도는 0으로 표시됩니다.
8. 포지션 결산
포지션 결산을 원하시면 “포지션”에서 “결산” 또는 “전체 결산”을 클릭하여 포지션을 결산할 수 있습니다. 포지션 결산 방식은 “시장가”, “지정가” 2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보충 설명:
1. 상품별 “1장”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 종류 | BTCUSDT | EOSUSDT | BCHUSDT | ETHUSDT | LTCUSDT | XRPUSDT | ETCUSDT | DASHUSDT | BSVUSDT |
계약 승수 | 0.002 | 2 | 0.05 | 0.05 | 0.2 | 40 | 1 | 0.1 | 0.1 |
거래 단가 | USDT | ||||||||
거래 방식 | T+0 | ||||||||
거래 시간 | 24H | ||||||||
유지 마진 | 0.50% |
계약 종류 | LINKUSDT | DOGEUSDT | ZECUSDT | ALGOUSDT | ATOMUSDT | ADAUSDT |
계약 승수 | 1 | 2000 | 0.1 | 30 | 2 | 50 |
거래 단가 | USDT | |||||
거래 방식 | T+0 | |||||
거래 시간 | 24H | |||||
유지 마진 | 0.50% |
2. 거래원금을 절약하기 위해 USDT 계약은 펀딩을 부과하지 않습니다.(포지션 유지비)
3. 플랫폼에서 보험 펀드에 거액을 투입해 강제 청산으로 인한 추가 손실을 방지하고 있기 때문에 수익을 이룬 투자자들은 손실 분담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상은 USDT 계약의 거래 절차입니다.
높은 레버리지 선택 및 포지션 진입 시기를 신중하게 선택하시고 특히 “위험도”를 수시로 주시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공식 커뮤니티에 가입하여 문의하십시오.
(비고: USDT 계약)
댓글
댓글 0개
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